제 5장 시제문의 조건
1. 동사의 어미 변화형
동사의 어미 변화형에는 두 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 하나는 시간의 의미가 포함된 시제형이고, 다른 하나는 시간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비시제형이다.
시제형의 경우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마치 희랍어와 라틴어처럼 1시상, 2시상으로 나뉘는 것이 그것인데, 과거와 현재가 그것이다. 미래는 시제가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미래는 현실에 발을 딛고서 '바라보는 것'이지 실제 어떤 사건이 발생한 시간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시제형의 경우 현재, 혹은 과거 안에서 디테일한 상(aspect)을 표현하기 위해 쓴다. 원형은 조동사와 맞물리면서 말하는 이의 심리를 드러내고, 현재분사형은 기준 시점과 동시에 벌어지고 있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지며, 과거분사형은 기준 시점 이전에 벌어진 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래서 동사가 한 단어로 구성된 단순현재와 단순과거를을 제외한 나머지 동사들은 모두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되며, 그 두 단어란 시제형 요소들과 비시제형 요소들의 결합이라 볼 수 있다.
2. 정동사의 정의
*동사의 (끝 부분)의 形태가 시제/인칭/수에 의해서 정해지는 동사
(形의 유무에 따라 정'형'동사라 말하기도 하고, 정동사라 말하기도 한다)
비정형동사는 시제/인칭/수에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동사를 말한다.
정동사가 쓰인 절은 정형절(Finite Clause), 비정형동사가 쓰인 절을 비정형절(Non-finite Clause)라 한다.
3. 실제 문장에서 정동사 찾기(기존의 동사 찾기 훈련)
4. 실제 문장에서 비정형동사 찾기
He has gone. 에서 gone.
Seeing me, he called out. 에서 Seeing.
To pass the exam is very defficult. 에서 To pass.
Tom's returning suprised us. 에서 returniung.
Be quite에서 Be.
I can do it. 에서 do.
He may have left yesterday.에서 have와 left.
5. 시제문의 성립조건
*주절에 정동사와 주격의 주어는 있어야 문이 최소한 성립 가능하다.
6. 비정형절
분사와 동명사와 부정사. 정동사는 주어로 주격의 주어와 짝을 이뤄 쓰이는 반면 동명사는 의미상 주어로 소유격과 짝을 이루고 부정사와 분사는 의미상의 주어로 목적격과 짝을 이룬다.
It is difficult to kiss her. 에서 to kiss her.
비정형동사는 정동사와는 달리 주어와 운명공동체의 관계가 아니어서 주어가 옆에 나오지 않아도 된다.
물론 나올 때도 주격이 아니라 전치사(for/of)의 목적격으로 등장한다.
7. 정형절과 보문소
정형절이 다른 절의 구성요소로 들어가게 될 경우, 접속사 that을 사용한다. 이 때 접속사 that을 문(Clause)을 보어와 시키기 위해 쓰인다고 해서 '보문소(Complementizer)'라 부른다.
8. 정형절과 비정형절의 전환
He ran madly so that he could win the rece.
→He ran madly to win the race.
문제는 왜 could를 지우고 win을 winning이라 하지 않고 to win을 썼는가?
When he saw me, he ran off.
→Seeing me, he ran off.
문제는 왜 To see me가 아니라 Seeing me인가?
부정사와 분사 part에서 심화 연구.
9. 시제문 조건의 예외
명령법. 비정형동사가 정동사를 대신함.
가정법과 관련된 예외들.
Though he be the present himself, he shall hear us.
lest다음 should가 생략되고 원형이 쓰이는 경우.
기원문.
비교문에서 than뒷쪽.
The girls swam faster than was expected.
*seem의 경우는 가주어 it을 생략할 수 없다.
More is known than it seems.
신문의 헤드라인.
편지나 전보.
격이 없는 회화체.
상황/날씨/가주어 it은 생략되기도.
No go. 이젠 틀렸다, 쓸 데 없다. 의 경우 앞에 It is 생략.
존재문의 there.
의문문에서 be형 정동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