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장 관계사
5.관계사 "근데, 이게" He has a dog. (and) The dog barks furiously. -->He has a dog which barks furiously. 두 문장을 which로 연결할 수 있는데, dog을 관계시킨다는 점에서 ‘관계사’라 칭한다. 여기서 세부적으로 which 는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하므로, ‘관계대명사’라 칭한다. 관계사 주격 목적격 보어 소유격 사람 who who/whom who whose 사물/동물 which which which whose/of which 선행사포함 what what what 1.관계사의 선택 1)인칭과 비인칭 선행사가 사람이면 관계대명사는 who나 whom을 쓴다. He is the man who lives next door. He is the man whom I met. 선행사가 비인칭이면 관계대명사는 which를 쓴다. This is the photo which shows my house. 2)내부구조의 자격에 따른 선택 (1)주격 관계사 The doctor examined the astronauts who returned from space today. 관계절 내에서 who는 주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를 취한다. 비인칭이면 which. (2)목적격 관계사 These are cats which I photographed. Who/Whom did you go there with? 목적격으로 사람을 나타낼 때 who/whom 둘 다 쓰인다. 목적격은 생략이 가능하다. (3)보어 관계사 She is the perfect accountant which/*who her predecessor was not. accountant가 사람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완벽한 회계원’이라는 자격/성질을 나타내므로 which. (4)소유격 관계사 Look at the house. Its windows are broken. =Look at the house whose windows were broken. whose는 소유격 관계사로서 its를 대신하고 있다. 그런데 house는 인칭이 아니므로 다음과 같이 <관계부사>나 <with구문>, <관련의 have>, <of which>로 대체한다. Look at the house where the windows were broken. =Look at the house with its windows broken. =Look at the house that has its windows broken. =Look at the house of which windows were broken. (5)전치사의 목적어관계사 He is the man to whom I gave the money. 말 그대로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격식체가 아니면 보통은 전치사를 관계사와 붙여 쓰지 않고 따로 쓴다. 단독이동인 경우 생략 가능. He is the man who/whom I gave the money to. =He is the man I gave the money to. 2.단독이동과 동반이동 관계사만 홀로 이동하면 단독이동, 전치사와 관계사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동반이동이라 한다. 1)접속사<that>/보문소 다음과 같이 that절이 명사의 기능을 하고 있으면 명사절. 주어, 타목, 보어로 쓰일 수 있다. 명사절에서 that을 접속사로 보기 때문에, that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 He told me about the cancellation of the match. =He told me that the match had been cancelled. 감정과 관련된 몇몇 형용사는 형용사의 보어로 that절이 따를 수 있다. 보어로 쓰이는 that을 보문소라 칭하기도 한다. I’m afraid (that) I can’t help you. 2)관계사 that 이 책에서는 투쟁관계로 복잡하게 설명했는데, 간단히 that이 관계 대명사로 쓰일 수 있다(관계 부사로도 쓰일 수 있다). “that은 동반이동이 불가능 하다!” 관계절은 어떤 요소가 빠져있는 결여구조이다. *This is the house. he lived in which. 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lived.<동반이동> *This is the house in that he lived. 동반이동 불가능. This is the house that he lived in.<단독이동> This is the house ( )he lived in.<생략> 3)소유격 관계사 whose는 소유 한정사이기 때문에 명사를 떠나서 홀로 이동하지 못한다. <whose+명사> = 동반이동 He is the man whose car was stolen. 소유격 관계사는 that으로 대체할 수 없고 사람일 경우 whose, 사물일 경우 of which를 쓴다. 4)전치사의 목적어 관계사 (1)전치사의 관계절 결정형 Is that his daughter of whose talent he is very proud? <be proud of>덩어리로 이해한다. (2)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 Desire and curiosity are the two eyes through which he sees the world. <through the two eyes>로 파악한다. 3.관계절의 유형 1)제한 관계절과 비제한 관계절 <,>없이 명사를 바로 수식하는 관계절은 ‘필수적인’정보를 제공한다. 제한관계절이라 칭한다. The government which promises to cut taxes will be popular. <,>와 함께 쓰이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비제한 관계절이라 칭한다. 계속적 용법이라고도 한다. The government, which promises to cut taxes will be popular. (1)제한관계절 -고유명사는 이미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관계절로는 수식할 수 없다. 비제한 관계절로 수식해야 한다. -everyone, anyone, nobody같은 부정형 명사는 그 자체로 범위가 불분명하므로 제한하는 제한 관계사를 써야 한다. 비제한은(x) -대명사인 that과 it은 관계절로 수식할 수 없다. -<he who>보다는 anyone who, <that which>는 what으로 보통 쓴다. -<who who>는 who that으로 쓰거나 떨어뜨려 쓴다. -비제한 관계절은 외치시킬 수 없다. 재덕형님, whom 석진 asked for help, thinks 석진 is an idiot. everyone who attended the party had a good time. Who that/*who has common sense can believe such a thing? =Who can believe such a thing who has common sense? 석진, who you wanted to meet, has just arrived. *석진 has just arrived, who you wanted to meet. (2)비제한관계절 비제한관계사는 생략할 수 없다. 비제한 관계사는 애초에 <,>로 분리되어 있어서, 관계사that은 쓸 수 없다. -요약/환원의 관계적 표현 앞 문장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다른 말로 바꿀 수 있다. I said nothing. the/that fact made me angry. <I said nothing>은 the fact로 요약될 수 있고, I said nothing, which fact made me angry. 이처럼 요약/환언하는 명사에 the/that이 붙은 구조를 Which+명사로 바꿔서 연결할 수 있다. -절 또는 절의 일부를 받는 관계사 I said nothing, which made him angry. 절 전체를 받는 경우. He was proud, which she never was. 절의 일부를 받는 경우. -비제한적 용법과 접속사 그냥 등위접속사의 뜻으로 해석될 때도 있다. He met Mary, who invited him to a party. =He met Mary, and she invited him to a party. 2)관계부사절 (1)제한관계절 <전치사+관계대명사> = <관계부사> 이름은 관계부사지만 관계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관계사 절이 완전한 문장이기 때문에 ‘관계부사’를 넣는 것이다. where = in which when = at which = during which = on which why = for which how = in which that’s the place where/in which she was born. the time at which/when ~ the period during which/when ~ the day on which/when ~ that’s reason why she spoke. (reason 뒤에 for which는 어색.) for the reason that/*why I could not understand the problem, I felt depressed. <the reason>앞에 전치사가 있어 부사구가 되면 반드시 that으로 대체한다. that’s the way in which she spoke. =that’s the way (that) she spoke. =that’s how she spoke. (the way와 how는 같이 쓸 수 없다.) 선행사가 일반적인 장소/시간이거나 the reason, the way일 때 선행사를 관계부사에 융합시킬 수 있다. 융합관계부사라 칭한다. (그냥 명사절이라고 보면 될 듯.) This is where we live. that’s how she spoke. Paris is the place. It’s at the place. It은 바로 그것, 극치, 바람직한 것이라는 뜻이다. =Paris is the place that it’s at. =Paris is where it’s at. <where it’s at>은 훌륭한 것/장소란 뜻이 된다. (2)비제한관계절 where와 when은 비제한 용법이 가능하다. I arrived at the hotel, and there/where I stated two weeks. I was about to leave, and at that time/when there was a knock on the door. 3)관계대명사절(adnominal relative clause) ad붙다/nominal명사의-->명사를 수식하는 관계 형용사절이라 할 수 있다. (1)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융합관계사 라고 할 수도 있다. -what I eat what I like. =I eat that which I like. what은 관계절에서 like의 목적어인 동시에 eat의 목적어다. 이같이 what은 <the thing that, that which, the man that>등의 뜻으로 쓰인다. <관용적 표현> what with A and B : A와 B 때문에, What is more : 게다가, 더욱이 -whatever what과 달리 부정형 명사를 선행사로 포함한다. I’ll send whatever is necessary. =I’ll send anything that is necessary. -whichever whatever와 뜻은 같지만 ‘선택관계’에 있을 때 사용한다. take whichever you want. =take any one that you want. whichever (of you) comes in first will receive prize. <of 복수명사> 앞에서는 선택 관계이므로 사람이든 뭐든간에 whoever, whatever가 아닌 whichever. -whoever/whomever whoever comes will be welcome. =anyone that comes will be welcome. you may invite whomever you like. =you may invite any one whom you like. -who/whom/which 원칙적으로 선행사포함의 관계사로 쓰이지 않지만, <choose, like, please, want, wish>가 쓰일 때 사용되기도 한다. you can take which(ever) you like. (2)선행사 포함의 관계적 표현 관사나 정관사처럼 한정하는 ‘관계한정사’라고 보면 되겠다. -what N She saw what food I bought. -whatever N Whatever orders he gives are obeyed. =Any orders that he gives are obeyed. -whichever I’ll buy whatever/whichever books 재덕형님 asks me to buy. 선택이 개입될 수도 아닐 수도 있으므로 두 가지 다 가능하다. -whosever N Whosever horse comes in first wins the prize. <whoever N>은 있을 수 없고 당연히 whosever N. -however 형용사 석진 will be however tall his father was. 석진은 아버지의 키가 얼마였든 그만큼 클 거다. (3)양보 부사절 whoever may come will be welcome. whoever may come, 석진 will be wellcome. 첫 번째 문장은 지금까지 배운 선행사 포함 관계절. 두 번째 문장은 양보 부사절이다. ‘누가 오더라도 그는 환영받을 것이다.’ 두 문장을 구별하는 방법은 주절이 결여구조면 관계명사절, 완전구조면 양보 부사절이 된다. 4)분열문의 관계절 분열문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두 개의 문장으로 분열 한 뒤 관계사를 사용해서 하나의 문장으로 합친 것이다. 뭔말인지 모르겠으니 문장을 봅시다. 석진 did it. It was 석진. 석진 did it. (두 개의 문장으로 분열) It was 석진 that <who> did it. (가주어 진주어로 연결. 하지만 관계사 연결의 부재) It was 석진 (that/who) did it. (관계사로 둘 중 하나가 쓰이거나 생략. ‘석진’강조) "바로 그거였어"(여기서 it은 중성으로서 神을 뜻하는 말이다), 이후 뗄레야 뗄 수 없는 제한관계절(that s v)이 이어진다. 다음의 문장을 강조하기 전으로 되돌려 보아라. It is they who are complaining. 5)부정사형 관계절 관계사 + ToVR의 꼴이다. 관계사가 동반이동한 전치사구일 경우에만 부정사가 따를 수 있다. I want a knife (which/that) I can sharpen pencils with. =I want a knife (*which/*that) to sharpen pencils with. 단독 이동일 경우 부정사절에서는 관계사를 필수적으로 생략한다. I want a knife with which I can sharpen pencils. =I want a knife with which to sharpen pencils. 요것이 부정사형 관계절. 6)분리된 관계사 문장이 너무 길어지면 그냥 다음문장에 관계사를 쓸 수도 있다. 보통 구어체에서 쓰인다. Psychics was freer, and we too are freer, in the Einstein universe. Which is where we live. “I think the taste quite unique.” “Which means?” 7)관계사 but/as (1)관계사 but 앞에 부정어구가 있을 때 <who/that ~ not>의 뜻으로 쓰인다. Nobody but has his faults. (2)관계사 as Time is not a merciful master, as we all know. ‘상태’를 나타낼 때, 선행사포함 관계사로 쓸 수 있다. He was as he always was. -숙어적 표현 <A와B의 관계는 C와D의 관계와 같다> A is to B what C is to D A is to B as C is to D What C is to D, A is to B What C is to D, that is A to B As C is to D, so is A to B A Do for B What C do for D 8)상관적 관계사 -such 명사 ~ as <그러한, 그런, ~와 같은> Such men as heard him praised him. 그의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그를 칭찬했다. for example의 <such as>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such와 as는 상관사 면목이 없습니다... 다음주를 기약하며... 4.관계사 선택의 선호 5.외치, 이동제한, 삽입, 이중한정, 등위 6.R전환 관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