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다고기 2016. 7. 8. 20:00



법(法, Mood)은 분위기다. '당당함'(직설법)과 '그러지 못함'(가정법). 그리고 너무 당당해서 시키기까지(명령법). 흔히 가정법을 일보후퇴 어법이라 쓰는 경우도 마찬가지. 진리에서 한 걸음 물러섬이다.

4.법MOOD

1.명령법

1)주어가 나타나지 않은 명령문
숨어있는 주어는<you>로 본다. Open the door.

2)주어가 나타나 있는 명령문
You open the door.
석진, open the door. <호격사>

3)Let이 쓰이는 명령문
Let은 회화에서 많이 쓰인다. 명령 또는 제안. Let을 사용한 여러 표현이 있다.
Let’s = Let us.
Let의 부정은 Let’s not/Don’t let’s 둘 다 가능.
Let’s go to the movie.
Let’s you and me go to the movie. us와 you and me 동격. 이런 문장은 거의 쓰이지 않음.
Let us say~ : ~하는 걸로 약속하자. 또는 이를테면.
Let’s face it : 솔직히 말합시다. 현실을 직시하자.
Let me see- : 자 보자. 그런데-. 글쎄. (제안x 스스로에게)
Let me go. 명령문.
Let it be. 순리에 맡기거라. 그대로 두어라.
Let there be light. 빛이 있으라. there=n:거기.
Let the two lines be parallel. <가정>

4)기타의 명령문
Be it so. So be it. 그렇다면 그렇게 해. <Let it be so>로 이해한다.
Far be it from me to interfere. 방해하려는 생각은 전혀 없다. <Let it be far from me to VR>
Be that as it may,~ 사실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그것은 무관한 이야기다. 어쨌든.
May you succeed!

5)부정명령문
진행형이든, 완료형이든 수동형이든 Don’t로 부정. ex)Haven’t(x)
Don’t have finished the job yet when we get back.
<Public notice>는 Do not을 쓴다.
Do not feed the animals!
6)명령문의 강조
앞에 Do를 붙인다. 보다 정중한 표현이 된다. you나 someone등 주어가 나타나 있으면 사용불가. Do tell me. Tell me, Do.

7)명령문의 제한
상태동사는 뜻에 따라 쓰일수 있을때가 있고 없을 때가 있다.
Resemble your brother(x)
Be old(x)
Be quiet(o)
Love your enemies.(o)
완료형 명령은 관용적인 표현인 Have done(그만 둬라)말고는 쓰이지 않는다.
수동형 명령은 긍정보단 부정으로 쓰인다.
Don’t be dressed yet.

8)명령문 + and/or(else)
그냥 접속사의 뜻으로 쓰일 때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해석된 때도 있다.
Hurry up, and you will be in time. <그러면>
Hurry up, or you will be late. <그렇지 않으면>
Do what I say, or else. 내가 하라는 대로 해. 안그러면(알지)

2.직설법
사실이나 사실에 대한 가능성 또는 확신을 나타내는 것을 직설법이라 한다.

1)직설법 과거 조건
가정법과의 차이 : 직설법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것을 가정하는 것이고, 가정법은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은 것을 가정 하는 것이다.(진리상의 거리감)
I hope that hi is here.
If he was/*were here, he was in the garden.
<even if/even though>는 <인정한다 하더라도> 조건+양보의 뜻.

2)직설법 현재 조건



3. 가정법

1) 가정법 현재
  가정법은 subjunctive. '아래에(sub) 붙음(junctive)'이다. 흔히 '종속절(Subordinate)'을 뜻한다. 
따라서 가정법 현재는 '종속절에서의 현재'의 의미.

If She be honest, I will employ her.
Whether she be right or wrong, she will have my support.
Even if it be found guilty, he shall have the right of appeal.

  현재를 쓰는 것은, '사실이 아직 정해져있지 않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특정시제가 아닌 원형을 쓴다(사실 현제시제는 아닌 것이다). 진리에서 한 걸음 물러선 것.
"현재 또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형태는 원형을 사용한다."(p. 427)

  그러나 현대 영어에서는 직설법 현재나 may가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Though he be/is the present himself, he shall hear us.
Whatever excuses he make/makes/may make, we don't believe him.

*'가정법'이라는 말도, '현재'라는 말도 오해를 가져온다. 본래, '종속절 동사원형' 이라 말해야 한다. 
결국 하자는 말은, '종속절에 동사원형을 쓰는 늬앙스는 앞으로에 대한 불확실성'이니까. 
그런데 이 동사원형이 직설법 현재와 혼용되면서 '현재'라는 말을 가져왔고, 
무언가 현실을 비꼬아 가정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면서, 의미전달이 더 나빠졌다.

2) 가정법 현재형 도치
Whether it be true or not, I will go.
→Be it true or not,
접속사를 날리고, 주어 동사 도치.

(Be he) Friends or foe, I will marry him.
Be it so humble, there is nothing like home.
He will be six come April(=if April comes).

3) ever 삭제
Whatever may come, I will not break my word.
→Come what may, 
→No matter what happens,

4) Putative should

상상, 추정, 언설 동사 + that s' should V.R.

  생각 속의 상황(가정의 should)과 감정의 색채(emotional should라 부른다)를 나타내기 위해, should를 종속절에 사용한다.

It is inconceivable that he is here.
It is unthinkable that he should be here.

I am surprised that he feels lonely.
I am surprised that he should feel lonely.

willing, anxious, eager 뒤의 that절은 직설법 현재를 쓰지 않는다. 가정법 현재나 가정의 should사용.

흔히 '명령, 주제, 제안, 요구 + (should) V.R.' 이라 외우던 것도 마찬가지. 
이것은 Mandative should라 부른다. 
여기까지가 스케치. 아래 자세히 칠해보자.


(1) 감정의 should "~다니"

I am surprised that he feels/should feel/*feel like that.
감정의 should대신 직설법을 쓸 수 있어도, 원형을 쓰지 못한다.
astonished, amazed, alarmed, shocked도 마찬가지.

It is lucky that the weather should be so fine.
"날씨가 이렇게 좋다니 참 다행이다."
It is lucky that the weather is(be*) so fine.
"날씨가 이렇게 좋아서 다행이다."

It is surprising, embarrassing, shocking, alarming, perplexing...
It is odd, curious, extraordinary, peculiar...
It is natural, logical, irrational, silly...

How should I know?
How on earth should I know?
Why should he go for you?
should는 의문사와 함께 쓰여 강한 의혹을 나타낸다.

Who should be there but Tom?
"톰 말고 거기 누가 있었겠어요?"
'should + 원형'이 자연스레 과거 사실을 지칭하고 있음을 확인하시라.
종속절이 아님에도, 종속절처럼 의미전달을 하고 있다.
"톰 말고 거기 누가 있었다고 (생각하겠어요)?"

(That 감탄문이 소개되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He must be hurt that he should react like that.
판단 근거를 나타내는 that절 안에서도 '감정의 should' 사용.

(2) Mandative subjunctive

  '주절의 동사가 명령과 관련된 종속문의 동사 사용과 그 늬앙스'에 대한 내용이다.

It is necessary that you attend/should attend the meeting.
돌려서 말하는 명령이다. "필요하니까 참석하셔야 합니다"

It is important that you give/should give all the information.

I propose that we start/should start early.

I request that you send/should send the money at once.
I request you to send the money at once.
I request that the money (should) be sent at once.

(a) 형용사 유형 : 뒤에 that + should V.R.이 오는 형용사들
It is imperative that
It is necessary that
It is essential that
It is urgent that
It is vital that
It is crucial that
It is important that
he is adamant that
It is desirable that
It is advisable that
It is fitting that
It is meet that
It is appropriate that
It is expedient that
It is impossible that

(b) 동사 유형(Suasive Verb, 청유 동사) : 뒤에 that + should V.R.이 오는 동사들
order, command, demand, request, desire, propse, move, urge, require, enjoin(요구하다),
recommend, provide, stipulate, dictate, decreed, advise, agree, ask, prefer, vote,
intend, determine, resolve, demand, state.

*suggest 제안일 때는 '가정의 should'나 '가정법 원형'이 온다. '암시하다'일 때는 직설법.
*insist 행동에 대한 요구일 때는 '가정의 should'나 '가정법 원형'이 온다. 사실 자체를 주장할 때는 직설법.
(insist는 본래 자동사. 뒤에 on it이 따라온다. 현대영어에서는 on it이 생략되고, 타동사화 되었으나. 라틴어 in.stare "그 안에 선다")
*decide "~하기로 결정하다"일 때는 should. "판단하다"일 때는 직설법. 부정사가 붙는 것이 보통.

(c) 동격 명사 유형 : 뒤에 that + should V.R.이 오는 명사들
the demand, a require, orders, the conviction, increasing pressure, a motion, his doctor's advise, his determination, the decision, his country's desire, their eagerness, His will, the condition, the proviso(with proviso "조건부로"), the constraint, It is of the last importance,

*the suggestion에서도 동사와 같은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제안'이냐, '암시'냐.
*instence도 마찬가지
*wish의 경우 실현 가능하면 가정법 현재, 불가능이면 가정법 과거.

5) 가정법 과거

  '가정법'이라는 말이 '종속절'이라는 의미임을 알면, 가정법 과거란 추정하는 주절의 동사 뒤에 따라오는 종속절의 동사의 형태에 대한 문법용어임을 알 수 있다. 

I assume that they are not alive.

  이 경우 종속절의 동사는 are로 현재. 현재시제는 존재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저 that절의 상황은 사실적.

My wife died twenty years ago. If she were alive, I could live a happy life.

  이 경우 화자는 She is not alive가 사실임을 알기 때문에, 조건을 걸 때 현재시제가 아닌 과거 시제 were로 표현하고 있는 것. 진리에서 한걸음 더 멀어진 것이다.

I expect he won't change his opinions.
I expect he very probably won't change his opinions.

  미래는 아직 사실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미래사실에 대해서는 종속절에 현재시제를 쓸 수 없다. 

If he changed his opinions, he would be more likeable person.
'그가 의견을 바꿀 것이다'라는 진술이 거짓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멀찌감치 떨어져서(과거 시제를 사용하여) 종속절을 쓴 것이다.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에 반대되는 내용으로 조건을 걸거나, 
사실로 추정되는 것에 반대되는 내용으로 조건을 걸거나,
미래에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으로 조건을 걸 때, 
이러한 내용이 거짓임을 인정하기 위해 과거 시제를 사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현재에 들어맞지 않는 것이다. 사실과 진실의 시제와 맞닿도록 표현할 수가 없는 것이다)

(1) 가정법 과거와 명칭

hypothetical past와 subjunctive past.

If I was/were better qualified, I 'd apply for the job.

were는 형태만으로도 빼도박도 못하게 가정법 과거임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 subjunctive past(이 책에서는 '순수 가정법 과거'라 부르자고 제안한다).
was가 왔을 경우, 이것이 직설법인지 가정법인지 형태상으로는 알 수 없고, 'I am better qualified'를 참이라 가정하는지, 거짓이라 가정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경우 hypothetical past(가정법 과거).

If it rained, I went by car.
If it rained tomorrow, I would stay at home.

(2) 가정법 표시사(Hypothetical Marker)
were. would, should

(3) 귀결절 조동사

would : 상황 변화와 그것의 예측, 그리고 마음 먹음
If he tried harder, he would succeed.
If he knew, he would tell you of course.
If I were you, I would never do so.

could : [can"수" + would]
If he worked hard, he would pass the exam.
If he worked hard, he could pass the exam.
  would가 쓰이면 시험이 붙게 된 사건을, could가 쓰이면 시험을 붙을 수 있는 능력을 조건절로부터 영향받았다는 의미가 된다. 우리말 '수'.

might : [may + would] 조건과 귀결의 논리적 타당성을 약화시킴.

It would be better if we told him the whole story.
It might be better if we told him the whole story.

must/have to
must는 가정법에서는 쓰이지 못하고, would have to를 사용한다.

ought to/should

need
need가 조동사면 would대체, need가 본동사면 wouldn't 사용

dare
dare가 조동사면 would대체, dare가 본동사면 wouldn't 사용

If John came, Mary daren't leave.
If John came, Mary wouldn't dare to leave.

(4) 가정법 과거의 언급 시점

조건절귀결절
a. 가정법 과거 (현재 언급)
If I were you(now),
a. 가정법 과거(현재 언급)
I would be happy (now).
b. 가정법 과거(현재 언급)
If I could skate (now)
b. 가정법 과거(미래 언급)
I would go with you tomorrow.
c. 가정법 과거(미래 언급)
If he came tomorrow,
c. 가정법 과거(미래 언급)
She would leave (then).
d. 가정법 과거(미래 언급)

d. 가정법 과거(현재 언급)


  가정법 과거는 a.'현재-현재', b.'현재-미래', c.'미래-미래'를 언급한다. 시간어구 부사들이 언급시점의 단서가 되는데, 상황상 알 수 있을 때는 부사 생략.
대체로 상태동사는 현재언급, 행위동사는 미래언급이라 보면 된다.

If I had enough money, I would buy another car.
have는 상태동사이므로 현재 돈이 없다는 얘기다. 그 사실을 반대로 가정.

If you came, you could stay.
came은 행위동사이므로 미래언급이고, 조건절이 미래언급이면 귀결절은 자동으로 미래언급

(5) 실현 불가능하지 않은 가정법
  가정법 과거는 단순히 a. 제안, b. 고려해볼만한 조건, c. 겸손하고 정중한 표현을 위해서도 쓰인다.

If I asked him for a loan, would he agree?
"내가 돈을 꾸어달라면 그가 응할까?"
I ask him for a loan에 대한 부정을 가정한 것이 아니라, '안 그럴수도 있지만, 고려해볼만한 조건'이라는 의미에서.

It would be better if we told him the whole story.
"전부 얘기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If we tell에 대한 진리상 거리감이 아니라, 고려해볼 만한 사항으로서 told.

Would you like a cup of tea If I offered you one?
"제가 권하면 한 잔 드시겠습니까?"
'offered'는 권하지 않는다가 아니고, 과거를 사용하여 offer를 사용할 때의 사실성을 배제함으로써 부담을 주지않으려는 겸손하고 정중한 표현.

Would you mind if I opened the window?

Son, I would be very grateful if you did your best not to flunk out of here.

I was wondering if you'd like to play tennis on Saturday.
would you like to V.R. 대신에 I was wondering if you would like to를 쓰면 아주 정중한 표현이 되는데, 이 때 was는 과거 시간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비사실성'이 부여되어, 우리말로는 "어떤 지요?"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게 된다. 

*if~ should~ 발생가능성을 적게 한다.
If he calls, tell him I'll ring back.
If he should call, I 'll ring back. "혹시라도 그가 전화하면"

If you should write to her, send her my love.
발생가능성을 적게함으로, 겸손한 제안의 늬앙스를 만들 수 있다.

Should you not wish out agent to call, please let us know.
조건절에 부정형인 should not을 쓸 수는 없다. 예외적으로 도치만 가능.

*If~ was/were to
If I were to/was to ask, would you help me?
were to를 쓰면 should보다 더 겸손한 표현.
단, were to를 쓰면 should의 경우와는 달리, 귀결절도 가정법 과거로.

*I should
I should ask him if there are any seminars you ought to go to.
조건은 if I were you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로, I should는 "나라면 ~하겠는데"의 늬앙스.

More like two I should think.
"아무래도 두 시간 정도일 겁니다."

I shouldn't worry. "저라면 걱정 안하겠는데요."
조건인 if I were you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로, I shouldn't는 Don't worry의 완곡한 표현.

(6) 좀 더 실현 불가능한 가정법

If my husband died tomorrow, what would my children do?
If my husband should die tomorrow, what would my children do?
If my husband were to die tomorrow, what would my children do?

should와 were to를 겸양이나 완곡한 표현으로 쓰지 않은 경우는, 단순히 가정법 과거 조건을 쓴 경우보다, 그 실현 가능성이 더 희박해진다. 가정법 과거가 70%라면, should는 그 이상이고, were to는 완전 불가능에 접근한다.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 be a scientist.
가정법 과거가 주관적인 부정이라면, should는 외부적인 상황이 작용할 여지를 조금 남겨두는 것이고, were to는 이를 거의 배제한다.

(7) 조건절의 조동사
보통 가정법 과거를 말할 때, 조건절은 과거형을 쓰고, 귀결절은 조동사 과거형 + 원형을 쓴다고 하는데, 직설법에서 조건절에는 현재형으로 미래를 대신하기 때문에 가정법 조건절에서도 would가 쓰일 경우가 적은 것이다. 그러나 의지미래인 경우, 직설법과 가정법의 조건절에서 will과 would를 사용할 수 있다.

If they would help us, we could finish early.

If you will/would follow me, I 'll show you the way.

If you could type, you might save a lot of time.

If I could see my native land, I would die a happy man.
could는 매우 빈번하게 쓰인다. 반면 might가 조건절에 쓰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8) It is time + 가정법 과거

It is high time they began to take you seriously and they know it.
high time은 "늦었지만 ~해야할 때다", "이제야 했다니 때늦은 감이 있다"로 해석하는데, 이 때 that절에는 가정법 과거를 사용한다.

It is about time (that) you had your heir cut.

It is time you learned to behave yourself.

Isn't it about time our baby could walk?
의미상 could를 쓸 수는 있지만, would는 불가능.

(9) were vs. was
가정법에서 were냐 was냐 문제가 되는 경우는 1인칭 단수와 3인칭 단수의 경우뿐이다. 다른 경우에는 언제나 were가 사용된다.

If he were/was present, nobody would notice him.
가정법일 경우, 원칙은 순수 과거 가정법(Past subjunctive)를 써야하나, 비격식체에서는 전적으로 실현불가능한 경우가 아닐 때는 hypothetical past를 쓰기도 한다.

If I were/*was you, I 'd accept their offer.
이처럼 전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는 was는 쓸 수 없다.

Were it not for the fact that you helped me, I would be homeless.

If I was/were to ask, would you help me?
완곡한 표현의 were to 대신에는 was to도 허용된다.

I wish If only Tessa was here now.
I wish If only Tessa were here now.
were를 쓰면 실현가능성이 더욱 줄어든다.

6)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시간은 '(이미 발생한)사실'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John heard the noise.

그러나 화자가 그 사실을 알고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이다. 그래서 추측이 덧붙여진다.

I think John heard the noise.
It is possible that John...
John cannot have heard the noise.
I am sure that John...
John must have heard the noise.

직설법에서는 두 가지 상황만이 나온다. John이 깨어있던 경우, 그렇지 않았던 경우. 즉 참과 거짓.
Because John was awake, he heard the noise.
Because John was not awake, he heard the noise.

그러나 만일 타인의 입장에서, 그 사람이 참과 거짓을 모른다고 가정하고서 말한다면.
If John had been awake (then), he would have hear the noise.
과거 사실에 대한 진리상의 거리감을 표시해야 하는데, 이미 가정법 과거가 과거 시제를 써버렸으니, 또다른 Tense Replacement(조동사 참조)가 필요하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가정법 과거 완료.
"과거의 얘기인데, 사실은 아니지만"으로 이해하면 된다.

(1) 명칭과 언급시점

가정법 과거 완료는 조건절이 직설법과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Subjunctive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Hypothetical past perfective.

(2) 가정법 표시사 would

If John had been awake, he would have heard the noise.

(3) 귀결절 조동사

*1인칭 should
If I had been at home last night, I should/would have heard the noise.
일부 영국인들은 1인칭 주어의 경우 would대신 should를 가정법표시사로 사용하기도 한다.

*would : 후회, 아쉬움, 충고, 상상, 인과 관계

If I had worked harder at school, I would have got a better job.

If my horse had won, I would have made a lot of money.

If I'd been married to  that woman, I 'd have packed my bags years ago. 

If I had lived on the Stone Age, I would have been a hunter.

I would have collected you at that station If I had known.

*could : [was be able to + would have done]

If I had tried, I could have done it.
'그 당시의 능력'은 전혀 가정법 조건에 영향 받지 않는다. 능력이 그 당시 분명히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He could have jumped six feet, if he'd trained hard.
능력 발생

If you hadn't helped me with the Step Test, I probably would never have been able to practice enough to win.
이렇게 하면 과거의 능력을 가정의 범위에 넣을 수 있다.

*might

If I had not been there, you might have been drowned.
여기서 might는 가정법 조건과 귀결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It is possible의 의미. 그저 자신의 판단일 뿐, 사실 관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You might have told.
최소한 ~했었어야 했다(비난)의 뜻으로 조건절 없는 가정법이 쓰이기도 한다.

*must/have to
must는 가정법에서는 안쓰고, 대신 have to를 쓴다.

If John had come, Mary would have had to leave.

*필연의 must
If it had not been for your help, I must have failed.
필연의 must는 가정법의 조건과 귀결에서 배제된다. might와 같은 경우.
must have p.p. = would surely have p.p.

*의무의 ought to/should : 과거 의무, 과거 사실의 확신
If john had come, Mary ought to/should have left.

The fair ought to have started by now.
ought to have p.p.는 드물게 가정법이 아닌 "~했었음이 틀림없을 걸"로 쓰이기도 한다.

*need
You need not have been in such a hurry.

*dare
If john had come, Mary dare't have left.

(4) 조건절 조동사
가정법 과거완료의 조건절에서는 would/should/might have p.p.가 쓰이지 않는데, 이것은 과거는 지나간 일이기 때문에 실제로 발생했느냐 아니냐가 문제이지, 의지같은 것은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드물게 조건절에 could have p.p.가 오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If ~had been able to 로 쓰는 것이 보통이다.

If I could have thought of that quotation, I would have used it.

They said he would never done it if it hadn't been for me talking/*for me to talk him into it.

7) 혼합 가정법


 

조건절

귀결절

동일결합

가정법 과거 완료

If they had started the day before yesterday,


가정법 과거 완료

they would not have been here yesterday.

혼합결합

가정법 과거 완료

If they had started the day before yesterday,

가정법 과거

they would not be here now.


(1) 일반 혼합 가정법

  아무 거나 되는게 아니라 '논리'가 성립하는 조건과 귀결만 가능

*If I had had enough money two years ago, I would buy another car tomorrow.

2년전에 충분한 돈이 있었다는 과거 사실을 부정 - 내일 다른 차를 사겠다는 미래(논리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형식상 맞아도, 혼합 가정법이 성립할 수 없다)


Had I had that kind of cunning, I would probably still be in politics today.

일반 혼합 가정법이 논리적으로 성립하느냐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today, tomorrow같은 현재와 미래임을 알려주는 시간 부사어구가 오면 필히 가정법 과거가 쓰여야 한다.


(2) 예외적 혼합 가정법

If he were a true friend, he would have acted differently (then).

실현이 희박한 상황을 조건으로 제시하는 경우.

"지금도 진정한 친구가 아니고, 앞으로도 일반적인 친구가 아님"


8) 완료의 가정법

If there could be linguistic seminars in heaven Dwight Bolinger would certainly have already presented new, true and interesting findings about the language of the angels.

현재완료에 대한 가정으로, would have p.p.가 된 것이다.  형태상 가정법 과거완료와 구분이 되지 않는다.

If I had written today, he would have got the letter tomorrow.
'have written'에 대한 진리상 거리감.

9) 가정법의 기타 표현 유형
(1) wish

(2) if only

(3) as if/as though

(4) as it were/was/is

(5) would rather

10) 가정법/직설법의 혼합형


귀결절, 가정법 과거 완료

조건절을 대신한 직설법 과거

The flower would have grown well,

"꽃이 잘 자랄 수도 있었었는데,(과거 언급)

but (that) I did not water it.

그런데 물을 주지 않았거든"

귀결절, 가정법 과거

조건절을 대신한 직설법 현재

I would buy the car

"그 차를 사고는 싶은데,(미래 언급)

save(that) I am poor

"그런데 가난하거든" (현재 언급)


but, save는 "제외하고는" 보다는, "그런데 실제로는" 으로 하는 것이 좋다.

11) 가정법과  삽입절

12) 조건절을 대신하는 표현
suppose, say, what if, Given, In case, unless, without(in the absence of), but for, with, under, otherwise, 명령법, to부정사, 분사, 동명사, 부사/부사구, 명사/명사구, 관계절

13) 가정법 내의 종속절의 시제

14) 가정법과 기능사 도치
Had I known,
Were I you,

(1) 가정법 과거의 기능사 도치
(2) 가정법 과거완료의 기능사 도치

15) 가정법과 화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