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국 글월의 의미
제 2장 시제
파다고기
2016. 7. 8. 19:59
<천일문>의 경우, 1과 2항목을 설명으로 처리하고, 3부터 본격적인 문장 분석을 시작한다.
1) 완료와 완료 진행을 묶고, 2) 과거완료와 미래완료를 다룬다.
3) 그리고 시제에 유의해야 할 구문으로 하나 묶고, 4) 수동태를 다루고, 완료 수동태를 다룬다.
5) 그리고 마지막으로 준동사에서 시제가 사용된 경우의 문장들을 모은다.
<토마토 텝스>의 경우, 1. 현재시제, 2. 현재시제의 예외적 용법 3. 과거시제, 4. 미래시제
5. 진행형, 6. 진행형으로 드물게 쓰이는 상태동사
7. 현재완료형 8. 과거완료형 9. 미래완료형
10. 시제 일치, 11. 문맥상 시제 일치
그리고 수동태는 UNIT 03으로 뺐다. 천일문은 수동태를 시제 안으로 우겨넣은 것이고.
천일문은 문법의 기본 개념을 잘 모르고 쓴 책이다.
(수동태는 Tense가 아니라 Voice다. '대상'문제다)
토마토 탭스는 전체 줄거리를 알고 있다.
시제(시간선상의 위치, 우리말 "때매김")와 상(aspect,측면, 양상)의 두차원 안에서 동사를 조명해야 한다.
시제는 정형동사가 정하고, 상은 완료와 진행이 정한다(수동을 '상'에 넣지 않았음에 유의하라).
그리고 '화법시제'는 곧 2시상이다. 현재시제와 화법시제에 대한 설명은 1시상과 2시상에 대한 설명이다.
1시상과 2시상이 시제. 정형동사의 일반적 쓰임에 대한 설명.
그리고 이어서 상을 설명한다. 5부터 9는 다 부수적인 설명이다.
2. 시제 시상
1. 시제(1시제과 2시제를 묶어서)
1.
현재시제는 동사의 1)적용기간 2)의미에 따라 분류 가능하다.
1)동사의 적용기간- (직선)과거와 미래로 적용기간이 무한정 퍼져 “진리, 상태, 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Water consists of hydrogen and oxygen.- (점선)행위동사와 함께 (보통 빈도부사 또는 규칙적인 시간을 명시해) “습관”을 나타낼 수 있다.- (점)지금 발생하고 있는 “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정형동사가 완료나 진행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다.Here comes the winner!즉, 시간으로는 무한히 퍼질 수도 있고, 규칙적으로 퍼질 수도 있고, 한 점으로 퍼질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1시상. '지금'에 대한 이야기.2)동사의 의미시간을 나타내는 어구나 빈도부사無 - 동사로“직업”을 나타낼 수 있다. He teaches English.有 - 동사로“습관/습성”을 나타낼 수 있다.그 외에 의미에 따라 “속성, 실제적 능력, 진리, 사실, 속담, 전달동사, 기원, 유래, 사실”을 나타낸다.
A : Hello. Can you I speak to Morag, please?
B : I'm afraid she's out of the office at the moment.
C : Really? She has asked me last night to call her at 3 o'clock today.
B : I guess she must be attending to an urgent matter.
이 대화는 전형적인 제1시제, 현재시제, 일상의 말하기 시제로 이뤄져있다.
C문장이 말이 안되는 이유. has asked라고 했다면, 연결의 상이 더해진 것이다.
last night이 보이는 순간, 아 이건 갇힌 시간. 제2시제이구나! 해야 한다. 그런데 완료를 썼으니, 시간은 갇혔고, 상은 연결했다. 모순.
연결의 상이 오려거든, last night같은 폐쇄적인 시간 부사어가 없어야 한다.
Water consists of hydrogen and oxygen.He closely resembles his father.I always take sugar in my tea.The concert starts tomorrow at 7 pm. 이런 문장의 경우, 현재시제의 예외적 용법이라고 배우나, 예외가 아니다. 현제시제. 1시제는 일상 말하기다. 저 내용을 보라. 얼마나 일상적인가!The train for Suwon leaves soon.Exams begin next Monday.When he graduate from college, he will go to America and get a job there.If it rain tomorrow, we'll stay home.
그리고 '미래'는 시제가 아니다.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사건에 시간적 위치가 어디있는가? 모두 현재에 기반을 둔 추측일 뿐이다. 그래서 미래시제는 제1 시제인 현재시제와 같이 쓰인다. 그리고 추측이고, 마음의 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대부분 조동사로 흡수되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진술은 조동사에서 다뤄야 한다. 미래를 시제로 묶지 않고, '미래표현법'으로 묶은 이 책은 뭔가를 아는거지.
2. 과거시제 2시상('화법시제'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야기 시제다. 이야기*를 할 때 쓰는 시제. *신기하지 않아? 이야기는 현재가 아니다. 새로운 차원을 가리킴)
1)동사의 성질에 따라 과거의 상태, 습관, 종료된 사건을 나타낸다.2)과거시제의 특징<현재와 무관>과거시제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point가 있다. 현재시제와 달리 과거시제는 동사의 적용기간 이 앞뒤로 퍼지지 않는다. 동사가 현재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소리다. 그래서 사건/상황이 종료된 후, 현재는 어떤지 알 수가 없다. - 이 때문에 완료상에서 “have”를 사용해 과거의 상황이 현재까지 “있다”로 표현한다.3)과거시제의 기능과거시제는 ㄱ)시간상의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고, ㄴ)진리상의 거리감(가정법)을 나타낼 수 있다.이야기는 현실과 다르다. 시간적으로 다를 수도 있고, 진리상으로 다를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야기를 하는 것은, 현재와 그 다른 것의 갭을 실천으로 극복하자는 늬앙스가 깔린 것이다.
They treveled to Jeju Island there years ago.John came to see me yesterday.The Korean War ended in 1953.My father was a teacher from 1990.
1)완료상have가 들어간 '상'이 일상에서의 말하기와, 이야기 말하기에서 have는 어찌 다르게 사용되는가? 이렇게 분류하는게 다소 무리일 수 있다. 일상과 이야기는 하나이므로.하지만 have는 이야기를 현실로 가져오는 상이다. 두 개의 시제를 연결한다. 일상 속에서는 결과, 경험, 완료, 계속을. 이야기 속에서도 주인공의 결과, 경험, 완료, 계속을.이 지점에서도 알 수 있는 것은, 두 개의 시제가 연결되는 접점에는 어떠한 결과가, 어떠한 경험이, 어떠한 이룸(완료에 대한 새로운 표현으로)이, 어떠한 계속이 있다는 것이다.이야기가 현실에 영향을 끼침을 나타내는 것이 have다.*완료에서 have를 쓰는 이유! : 과거의 상황을 현재까지 끌고 오는 놈이다. 과거의 상황이 현재까지 “있다” have, “했던 적이 있다” had.
ㄱ)현재완료 : 결과, 경험, 완료, 계속을 표현한다. hint-already, over the year, yet, still, since, lately, recently, in/for the last/past기간 등. 분명한 과거를 나타내는 어구와 함께 쓰이지 못한다.ㄴ)과거완료 : 결과, 경험, 완료, 계속, 대과거를 표현한다. “더 과거”에서 “과거”까지 동작이 완료되어서 그 결과가 남았을 때. 시간관계가 분명할 경우 과거가 과거완료를 대신할 수 있다.He had lived there for 10years when his mother died.ㄷ)미래완료 : 결과, 경험, 계속, 추측을 표현한다. 현재부터 미래의 어떤 시점까지 동작이 완료되어서 그 결과가 남아있을 때. hint-tomorrow, next시간표현, by/until미래, as of미래, by the time
My father has been a teacher for 20 years.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has decreased since 2005.I have had a bad headache all day.Have you ever seen a whale?We've just come back from our holiday.He has gone to Pusan.How long have you lived in this area?When did you move to this area?I had lived there for ten years when the war broke out.He hadn't been abroad before he went to university.I didn't know the schedule had changed.I have studied English for 10 years next year. 이 문장 자체가 말이 안된다. have를 뺀 2시제 문장이 성립해야, 그것을 have로 현실과 연결시키는데, 2시제 문장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저 마음의 생각이니, will이 들어가야 한다.2)진행상(진행에는 연결이 없다. 한 점. 순간 포착. 아래서 말하는 것처럼)-진행상의 의미상의 용법 : 동작을 순간적인 정지화면으로 포착해 보는 모습.
ㄱ)실재적 모습 : 지금 실재하는 것을 나타냄.ㄴ)미완성 표시 : 동작中이라서 완성/완료되지 않음을 나타냄.ㄷ)적용기간의 축소 : “일시적인”상태,습관ㄹ)be동사의 진행형 : be being을 억지로 씀으로써 의도적인 행위를 표현한다.<~처럼 굴다.>ㅁ)반복행위ㅂ)모양으로 인한 비난조 : 가벼운 빡침. He always phoning to me late.ㅅ)즉시동사와 지속동사 : He was reading(지속동사) a novel when I entered(즉시동사) the room.ㅇ)증감표시 : VRing + 비교급and비교급 = 점점 ~하고 있다.ㅈ)겸손표시ㅊ)가까운 미래표현 : 왕래발착동사ing = 가까운 미래. I’m coming soon.ㅋ)미래진행 : 시각적 상상The baby is taking a nap at the moment.-진행형 불가동사 : 동작이 없는 <상태동사, 지각동사, 위치동사, 심리상태동사>.
He was sleeping when I visited him.
Don't call her at seven o' clock. She will be eating dinner then.
Is there anything in particular you are looking for now?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여기까지가 기본이다. 나머지는 부수적인 것들, 외워야 하는 것들이다.
예문을 다시 정리해야 한다. 아니, 어떤 예문이든 설명해내야 한다. 씹어먹어야 한다.
토마토텝스 문제들로 점검해본 결과, 제1시제, 2시제의 분류만으로도 대부분의 문제를 맞출 수 있었다. 대화 예문과, 이야기 예문으로 분류해서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모든 문제를 꿰뚫는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SKY책에서 이어지는 다음 내용들은 고득점을 위한 예외들을 정리해놓은 것이다.
4.행위동사/상태동사의 시제와 상
5.미래표현법
1)will/shall + 동사원형 – 조동사파트에서 다룬다.
2)be going to + 동사원형 – 현재의 의도/조짐의 미래실현. to ~로 향한다
3)현재진행 – 인간의 노력으로 미래를 통제할 수 있을 때. 자연현상에는 쓸 수 없음.
4)단순현재 – 과거현재미래 모두 사실인 경우. 시간조건 부사절, 종속절에서의 중복방지.
6.기간과 시제
1)since와 기간 it – 과거에서 지금까지의 기간. 현재형 또는 현재완료.
2)before와 미래기간 it – 현재부터 미래까지의 기간. will VR.
3)befoer와 과거기간 it – 과거의 사건이 있었던 때까지의 시간. 과거형.
7.기준시점/발생시점과 과거완료/미래완료
완료상에는 기준시점과 발생시점이 있다. 발생시점에 완료동사가 포함되어있다. 완료상을 쓸 때에는 항상 기준시점보다 발생시점이 먼저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John will have finished his manuscript by tomorrow.
When John arrived, Mary had already left.
8.화법 전환 상의 시제일치
직접화법을 간접화법으로 전환될 때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한다.
이 때 원칙을 무시하고 시제가 앞뒤 안 맞게 쓰일 수 있다. 가령 전달동사는 과거인데 전달 내용의 동사는 현재일 경우 전달내용이 현재까지 계속된다는 의미이다. <현재 타당성>
He said “I am a good tennis-player.”
- He told me he is a good tennis-player. ‘He was’면 지금은 테니스 잘 치는지 알 수 없다.
Jane said she was meeting John in Paris the next day.
- was meeting은 과거진행이 아니라 존을 ‘만날’ 것을 뜻한다. <과거상의 미래>
9.동사의 어미형
동사의 불규칙 변화형.
아, 존재하는 모든 출제 포인트로 정리했던 것이구나! 틀린 문제를 SKY로 복습!
반응형